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메모

마포구청과 판교, 집값은 어떻게 형성될까?

by 시간의밀도 2020. 5. 17.
반응형

일자리와 집값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리는 집을 살 때 첫 번째로 생각해볼 만한 것이 바로 가정의 소득을 떠 올릴 수 있습니다.

이때 특별한 지표가 있는데요 그것이 바로 PIR입니다.

PIR이란 'Price to Income Ration'의 약자로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을 의미합니다.

연 소득 1억 인 가구가 10억 원의 주택을 매수하였다면 PIR은 10이 되는 셈입니다.

 

바로 이 PIR이 내 집의 가치와 가격을 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PIR은 기준이 조금씩 달라 발표기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습니다. HF(한국 주택금융공사), KB 등등에서 발표를 합니다. 

 

 

반드시 맞지는 않지만 그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는지 알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기업의 주가입니다. 또한 고층 빌딩이 밀집한 지역을 주시하라는 말들이 있는데요. 

 

┌전통의 강호 -사대문 (광화문, 을지로, 서울역, 남대문, 동대문, 충무로)등이 해당하고요

│고소득 직장들이 밀집해있는 곳으로는 - 여의도와 마포지구

└신흥 세력-강남지구

 

이렇게 나눠볼 수 있습니다.

고소득 직장 부근이 반드시 고급 주거지라는 공식은 없습니다. 대기업을 비롯해 많은 기업들이 통근버스도 운영을 하기 때문에 직주근접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을 가능성은 높습니다. 


□ 판교

 

 

 

 

대한민국의 실리콘밸리로 유명한 '판교 테크노밸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조사 결과, 성남과 과천 일대 주요 기업들의

하위 10개사(썸 에이지, 아프리카 TV, 솔브레인, 액션스퀘어, 메디포스트, 제넥신...)의 평균 연봉은

4399.7(만원/년)이 나왔고,

 

상위 10개사(SK가스, 네이버, KT, 지역난방공사, NHN엔터테인먼트, SK케미컬, 한글과 컴퓨터...)의 평균 연봉은

7042.2(만원/년)로 계산되었습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전체적으로 평균을 내보면 5720.95(만원/년)로 상당히 높은 연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경기 동남지역(성남, 과천)에서의 가구소득은 맞벌이 기준으로 상, 중, 하로 나누어볼 때 조사한 것을 보면

상:15,263 중:14,315 하:7,986  

 

그에 맞는 적정 주택 가격으로는

상: 202,560 중:119,082 하:80,812 

 

정도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판교의 기업들 분석해본 결과 서울만큼의 급은 아직 되지 않았지만 판교의 집값 상승에 경부라인 기업 입주가 함께 맞물려서 집값 상승에 견인 역할을 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판교의 기업이 서울만큼의 급이 아니라고 해서 질이 떨어지는 점은 아닙니다. 현재 판교에는 엄청난 양질의 일자리들이 들어와 있고 현재는 극히 일부이며 공장이 아니라 대부분이 본사, 연구소로 이루어져 있어 앞으로도 판교는 더욱더 양질의 일자리들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마포 (광화문+여의도)

 

판교와 비교해볼 곳으로는 마포가 있는데요

마포의 집값 상승 요인에는 광화문과 여의도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기업 금융 직장인들이 많기에 부부가 남자는 광화문, 여자는 여의도로 출근을 한다면 마포가 지리적으로 적합한 위치라고 생각됩니다. 위에서 계산해본 적정 주택의 가격은 남자의 연봉과 여자의 연봉으로 PIR 10 정도로 계산하면 적정 주택 가격이 대략적으로 나오게 됩니다.

 

마포구의 경우 맞벌이 기준 가구소득을 구분하면

상:17,210 중:14,171 하:10,565

 

적정 주택 가격으로는

상:137,683 중:113,369 하:84,522

 

여의도와 광화문의 하위 10개사 상위 10 개사들의 평균 연봉을 구해보면 약 9,000(만원/년)으로 판교와는 급이 다른 부분이 나타나는 모습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듯 우리는 집을 구할 때 직장을 고려하고 가구의 소득을 고려하고 학군을 고려하고 교통을 고려합니다.

그리고서 그에 맞는 직주근접 , 부촌, 명문학군, 교통의 요지 등을 찾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우리는 일자리, 특정 지역의 기업들의 평균 연봉과 집값에 대해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미 유명한 '대한민국 아파트 부의 지도'라는 책에도 내용이 있으니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듯합니다.

 

이상 시간의 밀도 '시밀'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