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간의 밀도 '시밀'입니다.😊
오늘은 QYLD라는 ETF에 대해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QYLD는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을 사용하는 ETF이며 나스닥 100 추종 ETF입니다. 또한 요즘 미국 주식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는 고배당 주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종목입니다.
우선,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주식을 이미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조금 비싼 가격에 매도하여 위험을 안정적으로 피하는 방식입니다. 콜옵션이나 풋옵션 없이 주식만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가가 하락하면 투자자의 손실이 커질 수 있는 반면에 콜옵션을 동시에 팔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콜 옵션을 매도하면서 받은 프리미엄만큼 손실이 보전되게 되는 원리입니다. 또한 주가가 상승하면 콜옵션 매도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지만 보유한 주식의 주가 상승으로 손실을 만회(covered)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좀 더 안정적인 종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콜옵션? 풋옵션?
여기서 콜옵션과 풋옵션이 생소하신 분들이 계실 텐데요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옵션은 특정한 자산을 정해진 날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여기서 사느냐 파느냐에 따라 콜옵션과 풋옵션으로 나뉩니다.
. 콜옵션(call option) : 옵션 거래에서 특정 자산을 정해진 날에 정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 풋옵션(put option) : 옵션 거래에서 특정 자산을 정해진 날에 정해진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
옵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ex)
마스크를 판매하는 약국이 마스크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한 달 후 마스크를 1개당 1,000원에 사들이기로 약속했습니다. 이것은 마스크를 한 달 후 정해진 가격인 1,000원에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한 것입니다. 물론 무사히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해서 권리금으로 마스크 1개당 20원의 프리미엄을 지불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약속한 한 달 후, 약국에서는 마스크를 개당 1,000원에 사들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마스크 수요가 폭등하며 이로 인해 공장에서 마스크를 판매하는 가격이 1,500원으로 올랐습니다. 약국 입장에서는 매입가(1,000원)와 프리미엄(20원)을 제외하고 마스크 1개당 480원의 이득을 본 셈입니다.
반면에 마스크 수요가 줄어 시중의 마스크 가격이 800원에 형성됐습니다. 이 경우 약국은 공장과의 계약 및 권리금(마스크 1개당 20원)을 포기하고 시중에서 800원에 마스크를 사들이기로 합니다. 이처럼 콜옵션 매수자는 기초자산 가격이 내릴 경우 손실 규모는 권리금(프리미엄)에 한정되며 권리행사를 포기하는 대신 다른 곳에서 시장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습니다.
QYLD처럼 커버드콜 ETF의 경우는 횡보장에서 투자 수요가 높아집니다. 주식을 매입하고 관련된 콜옵션을 매도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ETF이기 때문입니다. 옵션을 이해하면 ETF에 대한 이해도가 더욱 높아지는 이유입니다.
□ QYLD
QYLD는 나스닥 100 종목을 추종하는 종목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TQQQ와 마찬가지로 해당 종목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알파벳 등의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NDX US 05/15/20 C8800이라는 부분이 3.78%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바로 옵션입니다.
매월 이렇게 옵션을 걸어서 판매한 수익으로 주주들에게 배당을 하게 됩니다.
현재 배당수익률은 연간 12.81%라는 어마어마한 월배당을 주는 종목입니다.
과연 그럼 QYLD가 올해 배당금을 어떻게 마련하는지에 대한 세부내역을 보면 콜옵션을 팔아서 준부분은 전체의 3%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96%는 ROC(Return of Capital)에서 마련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상승률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ROC라는 부분도 간과할 수만은 없는 부분입니다.
QYLD가 높은 배당률로 과연 얼마나 지속이 가능할지도 생각해볼 만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ROC는 'Return on Captial'의 약자로 'Return on Capital'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펀드 같은 상품들에서 운용 수익보다 더 많은 분배금을 주기 위해서 자기 자산(부동산, 주식 등)을 매각해서 분배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을 예로 들어 보면 연금을 운용해서 벌어들이는 액수보다 더 많은 금액이 나가게 되는 경우, 기존에 본유하고 있던 자산 자체와 신규 가입자들의 돈으로 지급을 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쪼그라들겠죠
공무원연금 또한 마찬가지로 공무원 연금을 운용한 수익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국민들의 세금으로 아주 많은 부분을 채워 넣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만 배당으로 나가는 부분이 결국 자기 자신의 살점을 갉아먹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배당으로 장기간 수익을 올리기 위한 분들에게는 보수적으로 접근하시거나 다른 배당주를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QYLD는 이렇게 단순히 배당주의 한 종목으로 접근하시는 것보다는 조금 다르게 접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QYLD나 TQQQ 모두 변동성이 큰 나스닥이라는 지수에 투자를 하는 것을 인지해야 하고 가장 중요한 선택은 각자 본인, 투자자의 몫이라는 부분을 항상 체크하면서 선택을 하실 때는 항상 신중하게 접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의 뒤를 잇는 나스닥에 상장한 중국의 스타트업 쇼핑몰 (2) | 2020.05.23 |
---|---|
샤넬백 오픈런으로 증명된 명품시장, 명품 투자?(with LVMH,케링) (4) | 2020.05.18 |
한국팩키지 - 해성산업 한국제지 합병 (0) | 2020.05.07 |
파미셀 - FDA 렘데시비르 승인 (0) | 2020.05.03 |
[미국배당주] 스타벅스에서 배당받기 (1) | 2020.05.02 |
댓글